미국 배당 ETF 비교 (SCHD vs DGRW vs DIVO)

퇴직연금 계좌를 관리하다 보면, ‘안정성·수익률·성장성’ 세 가지를 모두 잡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특히 40대는 은퇴까지 시간이 남았지만, 원금 손실은 부담스러운 시기죠. 오늘은 40대 퇴직연금 투자자 관점에서 미국 배당 ETF 인기 종목인 SCHD, DGRW, DIVO를 비교하고, 어떤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좋을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1. SCHD, DGRW, DIVO 간단 비교

ETF장점 요약40대 퇴직연금 투자 관점
SCHD낮은 수수료, 꾸준한 배당 성장, 장기 수익 안정성장기 복리 효과 극대화, 퇴직 시점까지 안정적으로 키우기 좋음
DGRW배당 성장 특화, 성장 잠재력 중심인플레이션에 강한 성장주 기반, 장기적으로 배당 증가 가능성 높음
DIVO높은 배당 수익률, 옵션 전략 활용으로 변동성 완화매년 현금흐름 확보 가능, 단기 생활비성 현금 흐름 마련 가능

2. 배당률 & 수익률 관점에서의 선택

  • DIVO
    높은 배당률로 매년 퇴직연금 계좌에서 ‘배당금 재투자’ 효과를 노릴 수 있습니다.
    다만 수수료가 높아 장기 복리 성장 측면에서는 약간의 부담이 있습니다.
    40대 관점: 은퇴 후 생활비 일부로 배당을 활용하려면 매력적.
  • SCHD
    낮은 수수료와 꾸준한 배당 성장률이 강점입니다. 장기 보유 시 수수료 절감 효과가 복리 성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줍니다.
    40대 관점: 퇴직까지 15~20년 남았다면 SCHD를 핵심으로 두는 것이 안정적.
  • DGRW
    배당 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배당금 증가’가 기대됩니다. 인플레이션 방어에도 유리합니다.
    40대 관점: 성장 잠재력을 포트폴리오에 조금 섞어 두면 은퇴 후 배당금이 더 커질 가능성.

3. 수수료 비교

ETF운용보수특징
SCHD0.06%장기 투자자에게 최적의 저비용 구조
DGRW0.28%성장 전략에 비해 합리적 비용
DIVO0.55%옵션 전략 활용, 고배당 제공

: 퇴직연금은 장기간 운용되므로 수수료 차이가 복리로 크게 작용합니다. 가능한 한 저비용 ETF를 중심에 두고, 목적에 맞는 ETF를 보조로 편입하세요.


4. 40대 퇴직연금 투자 포트폴리오 예시

  • SCHD 70%: 장기 안정성·저비용 복리 성장
  • DIVO 20%: 고배당, 단기 현금 흐름 보완
  • DGRW 10%: 배당 성장 잠재력 확보

이렇게 구성하면 안정성 + 수익률 + 성장성을 모두 고려한 밸런스형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5. 40대 퇴직연금 투자자가 기억해야 할 3가지

  1. 지금은 시드머니를 키울 시기
    무리한 배당 추구보다 장기 복리 성장을 우선해야 합니다.
  2. 변동성에 흔들리지 말 것
    40대는 투자 기간이 아직 남아 있어 단기 조정에도 회복할 시간이 있습니다.
  3. 배당금 재투자 습관
    배당을 생활비로 쓰기보다는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세요. 은퇴 5년 전부터 배당 일부를 생활비로 전환해도 늦지 않습니다.

6. 주요 상위종목 표

ETF총 보유 종목 수상위 주요 종목 및 비중
SCHD약 103개Chevron(CVX) 4.36%, PepsiCo(PEP) 4.27%, Cisco(CSCO) 4.24%, ConocoPhillips(COP) 4.21%, Altria(MO) 4.19% (Morningstar, StockAnalysis)
DGRW약 301–302개Microsoft(MSFT) 9.31%, Apple(AAPL) 4.59%, NVIDIA(NVDA) 4.54%, Exxon Mobil(XOM) 4.28%, Chevron(CVX) 2.80% (TipRanks, StockAnalysis, TradingView)
DIVO약 27–35개Invesco Short-Term Investment Trust (AGPXX) 7.87%, Meta(META) 5.50%, Apple(AAPL) 5.25%, Microsoft(MSFT) 5.22%, CME Group(CME) 4.89% (StockAnalysis, TipRanks, TradingView)

해설

  • SCHD는 에너지·소비재·기술 업종 중심의 안정적인 대형주로 구성되어 있어 장기 배당 안정성에 강점을 가집니다.
  • DGRW는 기술 대기업 비중이 크며, 특히 Microsoft와 Apple 같은 기업이 ETF 수익률을 좌우하는 핵심 구성 종목입니다.
  • DIVO는 상위 종목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며, 단기 채권 투자 비중(AGPXX)을 포함해 보다 다양한 자산으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7. 국내에서 대체 투자 가능한 방법

하지만 위의 종목들을 “퇴직연금 계좌에서는 ” 직접적으로 매매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ETF 종목을 매매 하시면 그런 문제점이 해결 됩니다.

국내 상장 ETF 명칭 (한국판 미국 배당 ETF)기초 지수 / 전략 특징추천 이유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월 배당, 연금·퇴직연금 계좌에서 매수 가능 (지식 창고)SCHD와 동일한 포트폴리오, 유동성 풍부, 신뢰할 수 있는 구성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동일 지수 추종, 낮은 보수하지만 실부담비용은 다소 높음. 월 배당 가능 (지식 창고)저비용 전략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 ETFS&P 500 Dividend Aristocrats 지수 추종, 배당 성장에 초점 (지식 창고)안정적인 배당 성장성을 중시하는 경우 매력적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ETF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총보수 0.0099%로 매우 낮음, 월중 배당 가능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블로그)월중 배당으로 현금흐름 관리에 유리, 비용 부담 최소
Kodex 미국배당+10%프리미엄 다우존스 ETFSCHD 포트폴리오 기반, 커버드콜(타겟 프리미엄) 전략 결합 (삼성자산운용)SCHD 구성 종목에 커버드콜 수익 추가, 안정성과 인컴 모두 추구 가능

구매 시 고려 팁

  • 연금계좌 활용 시 세제 혜택: 국내 상장 ETF는 연금저축 및 IRP 계좌로 투자 시 과세이연 효과 및 세액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특히 연간 IRP 납입 한도는 700만 원이며, 위험 자산 비중은 70% 이내로 제한됩니다. 지식 창고+2YouTube+2
  • 월단위 현금흐름 확보 전략: 월중 배당을 제공하는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활용하면 현금흐름 관리에 유리합니다. 다른 월말 배당 ETF와 조합하면 월 2회 배당 구조도 만들 수 있죠. PLUS ETF 웹사이트+6삼성자산운용+6삼성자산운용 블로그+6
  • 비용 구조 중요: 총보수가 매우 낮은 ETF가 많지만, 실제로 투자자가 체감하는 실부담 비용(Total Expense Ratio, TER)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공시된 TER 및 운용보고서를 확인하세요. 지식 창고

요약 추천

장기 퇴직연금 운용을 위해 미국 배당 ETF 전략을 활용하고 싶다면, TIGER, ACE, KODEX, Kodex 월중배당 ETF들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을 고려해 **SCHD 전략에 가장 근접한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를 중심으로, 월중 배당을 추가하고 싶다면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를 보조 구성하는 방식이 좋습니다.